게더타운에서 진행할 수 있는 "보물찾기 게임"을 만들었다.
게더타운이 무료로 제공하는 공간(룸) 맵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게더타운의 "맵메이커"를 이용하여 직접 공간을 설계하고 개발할 수 있다.
"Edit in Mapmaker"를 선택하면 공간(룸)을 만드는 작업창으로 이동한다.
공간을 설계하려면 무조건 앱메이커를 실행하기보다 게더타운의 사용 목적과 참가 대상이 누구이고, 공간 설계를 어떻게 하고 무엇을 할 수 있게 만들 것인지 기획하는 단계가 우선돼야 한다.
이런 기획을 무시하거나 생략하면 맵메이커를 실행해도 무엇을 어떻게 만들지 막막하고 원활한 개발 진행이 막히게 된다.
여기서는 필자가 생각한 아이디어를 게더타운에서 구현하기 위한 기획과 설계, 개발작업 과정을 설명한다.
게더타운을 사용하는 사용자라도 사용만 하고 직접 공간(룸) 맵 제작을 해보지 못하면 맵 제작이 그리 녹록치 않음을 실감할 것이다.
맵 제작을 처음으로 시작하는 경우, 공간이나 기능들이 너무 어렵거나 복잡한 것으로 하면 낭패를 보게 된다.
그래서 간단하면서도 쉬운 난이도를 가진 정도를 개발 목표로 하는 게 좋다.
'보물찾기' 공간(룸) 맵을 만들려면 다음의 10단계로 진행한다.
1단계 - 게더타운을 활용할 아이디어(목적, 용도, 목표) 구상하기
교육이나 수업, 행사 등을 진행하는 경우, 참가자들이 함께 가상공간에 모여 아이스브레이킹 차원에서
게임이나 보물찾기 같은 레크레이션을 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 숨어 있는 보물을 누가 빨리 찾는지 경쟁을 하는 것도 모두에게 참여와 재미를 준다.
그래서 숨은 보물찾기를 위한 게더타운 개발을 구상했다.
2단계 - 구상한 아이디어를 기획하고 스케치하기
보물찾기 장소는 꽃과 나무, 집과 바위가 있는 풍경을 선택했는데, 게임 참가자들이 공간의 여기저기를 돌아
다니면서 시각적으로 힐링이 되도록 하기 위함이었다.
그래서 아래 사진처럼 레이아웃을 스케치했다.
3단계 - 보물을 숨기는 장소 선정하기
보물을 숨길 장소를 미리 아래와 같이 기획했다. 보물찾기가 너무 쉬워도 재미 없고, 너무 어려우면 성취의 기쁨을
얻기 어려워 중간에 포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래 빨간색 원으로 표기한 곳에 보물을 숨긴다.
4단계 - 통과할 수 없는 벽 그리기
참가자들은 자신의 아바타를 통해서 공간에 입장하고, 여기저기로 이동하면서 보물을 찾아야 한다.
이 때 공간에 있는 구조물에 자유로운 통과를 막는 벽(Impassable)을 설치하는게 중요하다.
벽 설치도 적절한 난이도로 조절하는 게 중요하다.
5단계 - 공간(룸)에 넣을 이미지 작업하기
1~4단계까지는 전체적인 기획과 설계도를 완성한 단계다.
이제부터 설계도를 기반으로 공감(룸)에 넣을 비주얼 작업을 시작한다.
앞에서 스케치한 레이아웃과 유사하게 만들면 된다.
6단계 - 맵메이커로 기본 작업하기
맵메이커를 실행하고, 공간 이미지를 배경 이미지로 삽입한다.
삽입된 배경 이미지를 기준으로 오브젝트들을 적절한 장소에 추가 배치한다.
통과할 수 없는 벽(Impassable) 작업을 한다.
7단계 - 보물의 종류나 이름이 무엇인지 확인하도록 인터랙티브 오브젝트를 배치하기
3단계에서 보물을 숨길 장소를 미리 선정했으니, 동일한 곳에 인터랙티브 오브젝트를 추가한다.
8단계 - 스폰(Spawn)을 삽입하기.
사용자가 공간에 접속하면 입장하는 위치가 스폰인데, 이것의 위치를 정한다.
입장하면 보물찾기의 안내 문구를 참고로 읽을 수 있도록 안내판 앞에 스폰을 설치한다.
9단계 - 맵을 저장하기.
지금까지 작업한 맵을 저장한다. => 화면 상단에 "Save" 버튼을 클릭한다.
10단계 - Go to Space로 이동하여 동작 여부 점검하기
화면 상단 왼쪽에 있는 "Go to Space" 메뉴를 선택한다.
본인의 아바타를 설정한 후에 이름을 입력하면 아래와 같은 공간에 입장한다.
이제부터 보물찾기를 시작하면 된다.
가족이나 친구들을 초대해서 누가 먼저 5가지 보물을 찾는지 시합을 해도 재미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모바일에서 실행한 게더타운 보물찾기 (소개 동영상)
PC에서 실행해야 키보드를 사용할 수 있어, 보물을 만났을 때 'X' 키를 눌러 확인할 수 있고,
모바일이나 테블렛을 무선 키보드와 연결했다면 이것도 가능하다.
PC에서 보물찾기 직접 경험하기 (아래 링크를 공유하면 다른 사람들과 함께 보물찾기를 할 수 있다) => https://gather.town/app/4xYBdi4LatQoLRi1/Hunting
'인공지능 챗GPT & 메타버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SME 표준 계약서(케이지에듀원) - 메타버스 이미 시작된 미래 (12차시 이러닝 개발 계약) (0) | 2021.11.27 |
---|---|
'메타버스 트렌드 2025' 저자 강연 @충청남도청양교육지원청 (0) | 2021.11.26 |
'메타버스 트렌드 2025' 저자 강연 동영상(요약) @춘천고등학교 (0) | 2021.11.11 |
'메타버스 트렌드 2025' 저자 강연 @춘천고등학교 (0) | 2021.11.10 |
'메타버스 트렌드 2025' 저자 강연 @인천 미추홀외국어고등학교(2차) (0) | 2021.11.03 |